중국공산당4 더불어민주당 및 현 정부의 장기적 국가정책추진 방향은? 미중 패권 전쟁이 급기야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자유민주진영과 공산당이 주축이 된 중국 중심의 전체주의와의 대결로 번져나가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이러한 대결의 틈바구니에서 우리는 어떻게 노선을 설정해야 할까. 가장 좋기로는 양쪽 모두에게 배척을 받지 않으면서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해나가는 것이겠지만 세계의 질서는 그렇게 호락호락하지가 않다. 그렇다면 지금 대한민국의 집권여당과 문재인 정부가 취하고 있는 노선이나 정책방향이 무엇일까 궁금하여 여러 가지 자료를 검색해보다가 현 정부와 집권여당의 방향은 바로 현재 중국을 벤치마킹하는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이 결론이 제발 나의 잘못된 판단이길 바라면서 그와 관련된 자료를 소개해 본다. 1921년 7월, 모스크바에 본부를 둔 세계공산당연맹[코민테른.. 2021. 7. 6. 국경절 천안문 행사 -1 오늘로서 국경절 연휴 6일째, 내일이 연휴 마지막 날이다. 중국현대사를 보면 간단히 보면 1911.10.10 신해혁명. 봉건왕조 청나라 멸망. 1912.1.1 남경에서 중화민국임시정부수립. 1921. 7.23 상해에서 중국공산당 결성. 1937. 7.7 노구교사변을 계기로 항일전쟁 개시. 1945.8.15 일본 무조건 항복. 국공.. 2019. 10. 6. 중국의 태자당, 혁명의 자손들 [다음은 코리아리얼타임 11월 30일자 기사를 전재한 것입니다] By JEREMY PAGE 올해 초 어느 날 저녁, 중국 베이징에 있는 미국 대사의 자택에 빨간색 페라리가 멈춰 섰고, 중국 최고 지도자들 중 한 명의 아들이 턱시도를 입은 모습으로 차에서 내렸다. 그는 보과과(23)였다. 당시 존 헌츠.. 2011. 11. 30. 국경절 연휴 풍경 1949년 10월 1일, 중국공산당은 국민당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중화인민공화국을건국하였다. 그날을 "궈칭제国庆节"이라고 하여 최대의 기념일로 삼아 이날부터 대략 일주일 간을 공휴일로 쉰다. 황금 같은 연휴라고 하여 "黄金周황금주"라고도 한다. 그렇다 보니 대부분 중국인들은 평소 꿈꾸던 여행.. 2011. 10.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