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진7 소한(小寒): 24절기 중 23번째, 가장 춥다는 날 내일 2023년 1월 6일(금)은 겨울도 후반으로 접어드는 소한이다. 예년 같으면 소한부터 대한까지인 1월 초순에서 중순까지 대략 보름 정도가 가장 추울 때인데 올해는 때이른 추위로 12월 내내, 그리고 1월 초까지 한파로 전국이 꽁꽁 얼어붙게 되었다. 다행히 어제부터는 조금씩 기온이 올라 한파가 물러가고 있으니, 비록 섣부르지만 올겨울 추위의 절정은 이제 끝이 아닐까 기대해본다. 설날이 22일이니 소한, 대한 추위가 없다면 어쩌면 이제 추위 걱정은 한시름 놓아도 되지 않을까 싶다. 그것보다는 추위가 끝나면 또 겨울도 끝날 것이고, 그렇게 또 봄이 올 것이니, 봄을 맞는 것 좋다만 올 한 해 365일이란 시간을 두고 볼 때 추위 걱정에 흘러보낸 시간만큼 지나가버리게 된다고 생각하면 아쉬움이 오히려 더 든.. 2023. 1. 5. [24절기] 한로(寒露): 이슬도 차가와지는 깊어가는 가을 내일, 10월 8일(토)은 절기상 한로이다. 한로(寒露)는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에 있는 24절기 중의 하나로 17번째이자 가을 절기중 다섯 번째이다. 음력으로 9월 중이며, 양력 10월 7일에서 9일 사이에 든다. 태양의 황경이 195°이며, 추분 뒤 15일째 날로, 밤의 길이가 낮보다 점차 길어지며 절기명 그대로 찰 '한(寒)', 이슬 '로(露)'로, 바람이 차츰 선선해지면서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때를 이르는 말로 기후 변화를 반영한 절기이다. 한로가 지나면 밤의 길이가 낮보다 확연히 길어지면서 가을이 깊어져 농촌에서는 추수를 서둘러 마치는 시기이기도 하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BC475~221), 당나라의 역사서인 (945), 원나라의 (1281) 등 중국의 여러 문헌에서 한로 기간.. 2022. 10. 7. [24절기] 소서(小暑): 장마까지 겹친 본격적인 무더위의 시작 내일이 절기상으로 소서(小暑)이다. 작년(2021)에는 중국 달력을 보니 7월 6일이 소서라고 되어 있어서 여러 곳을 다 확인해봐도 우리나라와 중국이 달랐는데 결국 그 이유를 모르고 지나갔었다. 그런데 올해는 한중 모두 7월 7일이다. 소서는 24절기 중 11번째이자 여름 절기로는 5번째로서, 태양의 황경(黃經)이 105°인 때로, 양력으로는 보통 7월 6일에서 8일 사이에 든다. 전후 절기로 볼 때 하지와 대서 사이의 절기에 해당하며, 절기의 이름으로 볼 때 ‘暑’는 덥다, 뜨겁다의 뜻으로 소서는 ‘작은 더위’란 뜻이 되며, 겨울로 치면 소한(小寒)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때이자, 한국은 이때 장마전선이 걸쳐 있어 습도가 높고 비도 많이 온다.(참고로 중국 학교는 여름방학을 .. 2022. 7. 6. [24절기] 하지(夏至): 낮 시간이 가장 긴 날 본격적인 더위의 시작 내일이면(21일) 일 년 중 낮 시간이 가장 긴 날이자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하지이다. 하지(夏至)는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이자, 여름 여섯 절기 중 네 번째로서,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에 든다. 태양의 황경이 90°인 날로 대개 6월 21~22일 무렵이다. 다른 말로 “夏節”(하절), “夏至節”(하지절) 등으로도 불리며, BC7세기에 24절기 중 가장 먼저 확정된 절기이다. 태양이 가장 북쪽인 하지점(夏至點)에 위치하게 되며,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남반구에서는 가장 짧은 날이다. 동지(冬至)에 가장 길었던 밤 시간이 조금씩 짧아지기 시작하여 이날 가장 짧아지는 반면, 낮 시간은 1년 중 가장 길어져 무려 14시간 35분이나 된다. 1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 2022. 6. 2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