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5 [24절기] 입춘(立春):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 봄을 알리다 유난히 긴 겨울이다. 설 연휴를 지나고 다시 찾아온 한파이지만 이제 낮 기온은 영상이라 설 전의 추위와는 사뭇 다르다. 그러고 보니 춥다 춥다 하던 중에도 시간은 어김없이 흘러 어느새 내일(2.4)이 입춘이다. 이제 겨울의 시대는 바야흐로 종말을 고하는가 보다. 그래, 겨울아, 봄바람에 얼마나 버틸지 어디 한 번 버텨보아라. 그런데 날짜를 보니 겨울, 추위가 지나감을 마냥 좋아할 만 할 것도 아닌 것 같다. 1월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2월도 벌써 3일째다. 새해에 많은 계획을 세우고, 특히나 2월에 많은 일을 하리라 계획한 사람들은 2월이 짧다는 걸 염두에 둬야 할 것이다. 설 연휴에다 28일까지밖에 없으니 아마도 순식간에 지나가버릴 2월이 될 것임에 틀림없다. 짧은 달에 맞게 욕심을 버리고 적당한 계획.. 2023. 2. 3. 소한(小寒): 24절기 중 23번째, 가장 춥다는 날 내일 2023년 1월 6일(금)은 겨울도 후반으로 접어드는 소한이다. 예년 같으면 소한부터 대한까지인 1월 초순에서 중순까지 대략 보름 정도가 가장 추울 때인데 올해는 때이른 추위로 12월 내내, 그리고 1월 초까지 한파로 전국이 꽁꽁 얼어붙게 되었다. 다행히 어제부터는 조금씩 기온이 올라 한파가 물러가고 있으니, 비록 섣부르지만 올겨울 추위의 절정은 이제 끝이 아닐까 기대해본다. 설날이 22일이니 소한, 대한 추위가 없다면 어쩌면 이제 추위 걱정은 한시름 놓아도 되지 않을까 싶다. 그것보다는 추위가 끝나면 또 겨울도 끝날 것이고, 그렇게 또 봄이 올 것이니, 봄을 맞는 것 좋다만 올 한 해 365일이란 시간을 두고 볼 때 추위 걱정에 흘러보낸 시간만큼 지나가버리게 된다고 생각하면 아쉬움이 오히려 더 든.. 2023. 1. 5. [24절기] 소한(小寒): 대한(大寒)보다 더 추운 때 오늘(1.5)은 24절기 중 23번째이자 겨울절기 여섯 개 중의 5번째인 소한이다. 통상적인 관념상 小자가 大자에 비해 작다는 거 당연한데, 절기만큼은 오히려 소한 때가 대한 때에 비해 더 추운 경우가 많다. 그래서 "대한이 소한 집에 가서 얼어죽었다" 라는 속담이 생긴 것인지도 모르겠다. 1년을 양력을 기준으로 한 24절기로 구분하니, 절기와 절기 사이가 대략 15일 정도 되면서 15일마다 계절의 변화가 확연히 느껴지는데, 아무리 삶에 쫓기더라도 최소한 절기마다의 이러한 계절의 변화를 통한 시간과 세월의 흐름을 느끼면서 살아가는 것도 의미가 있는 삶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올 한 해는 나 자신 아무리 바쁘더라도 소한부터 시작해서 12월의 동지까지 24개의 각 절기의 내용과 의미를 블로그에.. 2022. 1. 5. 오늘은 24절기 중 대서(大暑) [2020.7.22]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열두 번째 절기인 대서(大暑)이다. 겨울 절기인 혹한의 대한(大寒)과 상대되는 절기이다. 소서와 입추(立秋) 사이에 들며, 음력 6월, 양력 7월 23일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120°가 되는 때이다. 이 시기는 대개 중복(中伏) 전후에 해당하며 小暑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욱 더우며, 1년 중 가장 더운 절기이다. ‘物極必反’이라는 말처럼 극도로 더운 대서 뒤에는 곧바로 입추가 오는 것이다. 옛날 중국에서는 대서일부터 입추까지의 기간을 5일씩 차례대로 세 가지 징후가 나타나는데, 즉 “첫번째는 썩은 풀에서 반딧불이가 생기고, 두 번째는 대지가 습하며 찜통 더위가 나타나며, 세 번째는 큰비가 수시로 내린다.”(一候腐草爲螢, 二候土潤溽暑, 三候大雨時行.) 반딧불이는 .. 2020. 7. 22. 이전 1 2 다음